2016년 9월 11일 (일)
멍석딸기의 변종 혹은 유사종으로는 멍석딸기, 오엽멍석딸기, 청멍석딸기 그리고 사슨딸기가 있다.
이중에서 청멍석딸기와 사슨딸기를 만나려면 남해안 섬지역이나 제주로 가야한다.
오늘 통영 수우도 트레킹 길에 청멍석딸기를 만났으며 여기에 정리해 본다.
먼저 수우도에서 찾은 청멍석딸기.
잎 뒷면의 잎맥에만 털이 나 있는 까닭에 잎의 앞뒷면 색이 흡사하다.
청멍석딸기, 통영 수우도, 2016.9.11.
멍석딸기는 전국의 산과 들에 흔히 자라는 산딸기.
잎 뒷면 전체에 털이 나 있어 잎의 뒷면은 흰색을 띤다.
멍석딸기, 함평 사포나루, 2016.9.13.
마지막으로 사슨딸기.
사진에서 위쪽 잎이 사슨딸기의 잎이다.
소엽의 크기가 성인 남성 엄지 손톱 크기 정도라고 생각하면 얼추 맞을 것이다.
사슨딸기, 여수 금오도, 2016.4.24.
청멍석딸기 추가
청멍석딸기, 통영 수우도, 2016.9.11.
청멍석딸기, 통영 수우도, 2016.9.11.
멍석딸기 추가
멍석딸기, 무등산 중봉, 2013.8.5.
멍석딸기, 무등산 중봉, 2013.8.5.
멍석딸기, 무등산 중봉, 2013.8.5.
사슨딸기 추가
사슨딸기, 여수 금오도, 2016.4.24.
사슨딸기, 서귀포 남원읍, 2014.5.5.
사슨딸기, 서귀포 남원읍, 2014.5.5.
오엽멍석딸기?
마지막으로 몇 년째 종명을 찾지 못하고 있는 산딸기 한 종.
야생복분자 변종 혹은 야생복분자와 멍석딸기 교잡종으로 추정되지만 내 얕은 지식으로는 더이상 정확한 동정은 힘들다.
무등산 화순쪽, 2015.5.31.
무등산 화순쪽, 2015.5.31.
무등산 화순쪽, 2015.5.31.
무등산 화순쪽, 2015.5.31.
무등산 화순쪽, 2015.5.31.
무등산 화순쪽, 2015.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