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어버릴까봐 적어둠]
미니 PC를 사면서 모니터도 하나 더 장만했다. 기존에 쓰던 HP 24인치 모니터의 색감이 편해서 혹은 익숙해서 같은 제품으로 구입하고 싶었는데 이 녀석에겐 VESA 마운트 홀이 없다.
VESA mountable BenQ GW2480을 샀다. VESA mountable 모니터는 모니터를 벽이나 모니터 암에 장착하거나 혹은 아래 사진처럼 모니터에 미니 PC를 거치시켜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소형이지만 미니 PC를 모니터 뒤편에 거치하게 되면 좁은 책상에 그나마 숨 쉴 공간을 남겨준다. 참고로 MSI Cubi 2와 모니터는 가볍고 작은 mini DP to DP 케이블로 깔끔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는 BENQ 모니터에 HDMI, VGA 뿐만 아니라 DisplayPort도 달려있어 가능한 일이다.
높이 차이는 책을 괴어 간단히 해결했지만 두 모니터의 색 차이는 생각보다 심하다. 한시간 가까이 손댄 끝에 겨우 비슷하게 맞추고 그 값을 적어둔다. 블로그에 남겨두는게 나중에 찾기 수월하고 잃어버릴 염려가 없다. 참고로 BENQ 색감은 HP에 비해서는 별로다. 내가 BENQ 모니터를 사고 나서 곧바로 가격이 $20.00 인하되어 더 그런 느낌이 드는건가?
HP #1
Bright 53
Contrast 80
Color Ctrl Neutral
BENQ #1
Bright Intelligence OFF
Brightness 45
Contrast 60
Sharpness 7
Gamma 3
Color Temp - User Define (94,95,93)
Picture Mode - User
HP #2
Bright 65
Contrast 80
Color Ctrl - Neutral
BENQ #2
Bright Intelligence OFF
Brightness 53
Contrast 60
Sharpness 7
Gamma 3
Hue 50
Saturation 55
Color Temp - User Define (100,100,97)
Picture Mode - User
HP #3
Bright 58
Contrast 80
Color Ctrl - Custom RGB (252,253,252)
BENQ #3
Bright Intelligence OFF
Brightness 57
Contrast 60
Sharpness 7
Gamma 3
Hue 50
Saturation 50
Color Temp - User Define (97,96,99)
Picture Mode - User
#2는 어둡고 누렇지만 편한 구성
#3은 밝지만 눈이 시리고 아픈 구성
데스크탑 색상과 밝기는 얼추 비슷해졌는데, VLC로 영상파일을 재생하니 우분투(BENQ모니터)쪽 VLC가 너무 밝고 뿌옇다. 이것은 VLC 메뉴 Tools -> Effects and Filters에서 Hue값을 조정하여 맥(HP모니터)쪽 VLC 색상과 비슷하게 맞출 수 있었다.
말이 나온 김에 적자면, VLC에서 한글 자막을 보려면 VLC 메뉴 Tools -> Preferences를 클릭하여 설정창을 열어 Subtitles/OSD 아이콘을 누르면 아래의 창이 나온다. 여기서 Default encoding과 Font 항목을 아래와 같은 값으로 바꿔주면 된다. 창을 열기 전에 먼저 나눔폰트 패키지를 설치하자.
sudo apt-get install fonts-nanum*
sudo fc-cache -fv
그래도 자막의 한글이 깨져서 나온다면 자막자체가 cp949 형식으로 코딩되어 있을 것이다. 이것은 다음 명령어를 이용 UTF-8 형식으로 바꾸어 주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