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우분투 마테이 설정하기

레드얼더 2018. 5. 9. 03:45

[잊어버릴까봐 적어둠]

Ubuntu MATE

Linux Ubuntu 18.04는 Ubuntu를 포함하여 8가지 flavour로 제공된다. 이중에서 Ubuntu와 Kubuntu, 그리고 Ubuntu MATE를 시험해 봤는데 내 입맛에는 Ubuntu MATE가 제일 맞았다. 대학원 연구실에서 UNIX 워크스테이션을 집에서는 FreeBSD를 써봤고 최근에 Linux CentOS에 DB 서버를 구성하여 잠깐 사용해 봤지만 Linux Ubuntu는 처음이라, Ubuntu MATE 설치 후 내 입맛에 맞게 설정한 과정을 적어둔다. 2주일 사이에 서너 차례 설치해 봤지만 지금 당장 누군가 PC를 던져주면서 이 메모를 보지않고 Ubuntu MATE를 설치하고 설정해 보라면 할 자신이 없다.

Ubuntu MATE에서 MATE는 남미 원산의 MATE 차나무를 뜻한다. 이게 요즘 한국에서 다이어트 차로 홍보되고 있는 마테차다. MATE의 스페인어 발음은 mah-tay로 '마테'와 '마테이' 가운데 쯤 된다. 일부 영어 발음인 메이트로 읽자는 사람(주로 영어권)도 있으나 마테이로 발음하자는 사람들이 더 많은 것 같다.




파티션은 수동으로 잡았다.
그래봤자 단순 그 자체지만...
swap 17GB, 나머지는 /, 포맷 형식은 ext4

Intel NUC에도 우분투 마테이 18.04를 설치해 봤는데, 설치 도중 grub-efi-amd64-signed failed to install into /target/라는 메세지가 떴다. 이럴 경우 파티션을 하나 더 만들어야 한다. 이름은 /efi 형식은 efi system partition이다. 크기는 400 MB만 줘도 넘친다.



기초 중의 기초

윈도우키 + tab 기능은 Ctrl + Alt + Tab
터미널에 붙여쓰기는 Shft + Ctrl + V
터미널 시동 단축키는 Ctrl + Alt + T
데스크탑 나타내기는 Ctrl + Alt + D
윈도우 메뉴는 Alt + Space


pluma로 충분하지만 꼭 gedit를 설치하겠다면,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gedit

INTEL HD 그래픽 드라이버 정보
sudo modinfo i915



한글입력 설치

Menu -> Control Center -> Language Support
Language Support는 Personal 그룹에 있다. 창을 열면 뭔가 업데이트, 설치를 하라고 하는데 업데이트와 설치를 하고 나서 Install/Remove Language를 클릭하여 창이 다른 창이 열리면 여기서 Korean을 체크 한 다음 설치 버튼을 누른다. 설치가 끝나면 로그아웃/로그인을 한다. 다시 Language Support를 열어서 Keyboard input method system:에 fcitx를 선택한 다음 창을 닫고 로그아웃/로그인을 실시한다.



Control Center를 열어보면 Other 그룹이 생기고 거기에 Fcitx Configuration 아이콘이 있을 것이다. +를 클릭하여 Add input method에 Hangul을 선택한 다음 OK 버튼을 누른다. 창을 닫고 원래 창으로 돌아와서 Global Config 탭을 클릭한다. Ctrl + Shift가 한영 전환키(Triger Input Method)로 등록되어 있는데, 첫줄 두 번째 항이 Empty다. 이 Empty를 클릭한 다음 한/영 키를 누른다. 영어자판이라면 오른쪽 Alt key. 이제 한/영 key로 한글 영어 입력을 전환 할 수 있겠다.




[Ubuntu 18.04 Desktop]
Ubuntu MATE가 아닌 그냥 우분투 18.04에서는 Language Support을 왼쪽 하단의 Show Applications 아이콘을 클릭하면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는 Install/Remove Language를 클릭하여 Korean을 설치한 다음 창을 닫고 나와서 터미널을 열어 fcitx를 수동으로 설치해 주어야 한다.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fcitx fcitx-hangul


[Ubuntu MATE 16.04]
Ubuntu MATE 16.04에서는 Language Support는 System -> Preference -> Personal 아래에 있으며
fcitx Configuration는 System -> Preference -> Other 아래로 들어간다.



글꼴설치

나눔글꼴 모두 설치
sudo apt-get install fonts-nanum*

글꼴 캐시 삭제
sudo fc-cache -fv

글꼴 캐시를 삭제하거나 reboot를 하면 된다. 글꼴 캐시를 삭제하는 까닭은 리눅스는 부팅시 글꼴들을 찾아서 리스트를 캐시로 보관하는데, 부팅 이후에 설치된 글꼴을 리스트에 포함시키기 위해선 캐시를 제거해준뒤 다시 서치하게끔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글꼴의 위치는 /usr/share/fonts/ 이다. 수동으로 설치할 경우 /usr/share/fonts/ 아래 폴더에 넣어주면 되겠다.



Google Chrome Installation

구글 크롬이 설치가 안된다. 그래서...
일단 다운 받는다. dev package로...

cd ~/Downloads 에 가서
sudo dpkg -i google-chrome-stable_current_amd64.deb
이제 Menu -> Internet 에 가보면 크롬이 있다.



I/O Scheduler 변경


우분투 18.04는 I/O scheduler 초기 설정이 cfq인데, 저장장치가 SSD인 경우 noop이 제일 좋은 선택이라고 한다.

현재 설정 상태를 확인한다.
cat /sys/block/sda/queue/scheduler

noop이 아니라면 grub 파일 편집
sudo pluma /etc/default/grub

다음 항목을 찾아서 아래와 같이 수정
GRUB_CMDLINE_LINUX_DEFAULT= "quiet splash elevator=noop"

grub 업데이트
sudo update-grub

서너줄의 메시지가 나올것이다.
Generating grub configuration file ..
확인 뒤 reboot를 하자.



Install Android Studio


참고한 사이트 (여기를 클릭)


먼저 자바를 설치한다.
자바 8 (1.8.xxxx)
sudo add-apt-repository ppa:webupd8team/java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oracle-java8-installer
sudo apt-get install oracle-java8-set-default

자바 10 (며칠 전 공식 발표됨)
sudo add-apt-repository ppa:linuxuprising/java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oracle-java10-installer
sudo apt install oracle-java10-set-default

자바 10을 default에서 해제하려면,
sudo apt remove oracle-java10-set-default

자바가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버전 확인,
javac -version

자바 환경을 설정하자.
sudo su
which java
pluma .bashrc

맨 마지막에 다음을 삽입한다.
JAVA_HOME=/usr/lib/jvm/default-java/bin
export JAVA_HOME
PATH=$PATH:$JAVA_HOME
export PATH

파일을 저장하고 나온다.
echo $JAVA_HOME


설치에 앞서 또 한가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는 몇가지 32비트 라이브러리를 필요로 한다
sudo apt-get install libc6:i386 libncurses5:i386 libstdc++6:i386 lib32z1 libbz2-1.0:i386

이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다운 받는다.
안드로이드 다운로드 사이트 (여기 클릭)

다운 받은 압출 파일을 home에 풀어놓으면 혼자만 사용 가능하다. 전체사용자가 사용하게 하려면 /opt에 풀어야 한다.
다운받은_파일:
android-studio-ide-173.4720617-linux.zip

sudo unzip -d /opt 다운받은_파일



Android Studio를 Menu에 넣기


Menu -> Preference -> Main Menu
아래 창이 열리면 Programming을 선택한 다음, New Item 버튼을 클릭한다.



Command와 Icon은 각각 아래와 같다.
/opt/android-studio/ bin/studio.sh
/opt/android-studio/bin/studio.png



NetBeans 설치


NetBeans + Java JDK 묶음을 다운로드해야 한다. 그런데 Java는 버전 10이 발표되었지만 JDK 10과 묶어진 NetBeans은 발표전이라 약간 혼란스러운 상태다. 여튼 NetBeans + JDK 8은 다음 주소에서 다운 받을 수 있다.
NetBeans + JDK8 다운로드 (여기를 클릭)

chmod a+x jdk-8u171-nb-8_2-linux-x64.sh
sudo ./jdk-8u171-nb-8_2-linux-x64.sh

설치가 끝나면 메뉴의 Programming 항목을 확인.




NetBeans에서 C/C++/fortran 활성화

일단 GCC 설치.
sudo apt install build-essential

설치 확인
which g++
which gdb
which gfortran

which gfortran에서 아무것도 나오지 않으면
sudo apt-get update
sudo apt install gfortran

설치 확인
which f77
which f95


Netbeans에 컴파일러 설정
Tools -> Options -> C/C++ 에서 확인해 보자. 대개 자동으로 설정되는데 만약 Fortran 항목이 비어있다면 Fortran compiler에 /usr/bin/f77 또는 /usr/bin/f95를 입력한 다음 OK 버튼을 누른다.




Spring Tool Suite 설치


STS 다운로드 사이트 (여기를 클릭)
Eclipse와 합본으로 가져온다.

sudo tar -xvf 가져온_파일.tar.gz -C /opt

JDK, JRE가 필요하지만 Android Studio 설치할 때 설치/설정 되었다. Main Menu에는 Android Studio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넣으면 되겠다. Command와 Icon은 아래와 같다.
/opt/sts-bundle/sts-3.9.4.RELEASE/STS
/opt/sts-bundle/sts-3.9.4.RELEASE/icon.xpm




NetBeans 9 설치


http://netbeans.apache.org/에서
Apache NetBeans 9.0를 다운 받는다.

incubating-netbeans-java-9.0-bin.zip을
내려받아 압축을 풀면 netbeans가 생긴다.

netbeans을 /opt로 이동한다.
sudo mv netbeans /opt

cd /opt/netbeans/bin
/.netbeans --jdkhome /usr/lib/jvm/java-10-oracle






Samba 설치 및 설정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samba

which samba
whereis samba

mkdir /home/steve/samba_share/
sudo gedit /etc/samba/smb.conf

[sambashare]
comment= Samba on Ubuntu
path = /home/steve/samba_share
read only = no
browsable = yes

sudo service smbd restart
sudo smbpasswd -a steve

Mac에서 Ubuntu MATE에 samba로 접속하였는데 잘된다. 큰 파일로 테스트 해보질 않아서 전송속도는 모르겠다. 수 GB 크기의 대형 파일은 외장하드로 옮기고 있다.



ntfs 외장하드 마운트


sudo fdisk -l
..를 실행하여 외장하드 이름을 얻는다.

마운트를 시도한다.
sudo mount -t ntfs /dev/sdb1 /media

이미 마운트 되어 있다는 메세지가 나온다.
mount 명령어는 마운트된 위치를 알려준다.

대략 이런 위치에 마운트 되더라.
/media/steve/25748CCD13552C3A

사실, Caja같은 파일 메니져로 보면 마운트 위치를 포함한 모든 것을 보여준다.




Gparted로 swap file 크기 조절


Gparted라는 GUI 어플을 사용하여, /를 줄여서 unallocated space를 만든 다음, 스왑 파일을 늘리면 된다. Menu -> System Tools -> GParted가 없다면 설치한다.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gparted && sudo gparted



시스템 정보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hardinfo

Menu -> System Tool -> System Profiler and ...



CPU freq 조정

NUC7i7BNH의 거의 유일한 결점은 fan noise가 심하다는 것이다. BIOS로 들어가서 duty cycle을 38로 두면 견딜만 하지만 문제는 CPU frequency 모드가 performance일 경우 CPU와 메모리 온도가 50도를 넘기는 경우가 많다는 것. 사실 대부분의 경우 CPU frequency 모드가 performance일 필요가 없다. 여튼 CPU frequency 모드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는 우분투 어플이 있어 설치했다.

sudo apt-get install indicator-cpufreq
which indicator-cpufreq

이제, 수퍼키를 누른 다음 Startup을 입력하면 Startup Applications이 나온다. 여기에 /usr/bin/indicator-cpufreq 를 등록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