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Alta Mountain - Rachel Lake Trail

레드얼더 2017. 7. 16. 12:39

2017년 7월 15일(토)
Alta Mountain
Rachel Lake Trail

오늘 산행 목표는 Alta Mountain 정상 정복, 허나 난 컨디션이 좋질 않아 Rachel Lake 위 능선까지만 올랐다... 2주일만 있다 가려고 약을 적게 가져왔다가 출국을 연기하게 되어 약이 떨어졌다. 한국에서 보냈으나 벌써 도착해야될 혈압약이 계속 늦어져 일주일 가까이 걸렀더니 몸이 엉망이다. 여튼 Altar산 정상 조망이 좋다던데 아쉽다.


사진은 능선에서 시작하여 하산하면서 찍은 것들이다. 능선에는 Coast Boykinia, 서양톱풀, 그리고 Bridge's Gilia같은 작고 예쁜 꽃들이 많았지만 매크로렌즈를 가져오질 않아 카메라에 담지 못했다. 근데 서양톱풀은 해변에도 있고 이렇게 높은 산에도 있다. 혹시 서로 다른 종일까?


Sedum divergens
케스케이드 돌나물
Cascade Stonecrop




Sorbus sitchensis var. grayi
Gray's Mountain Ash, Sitka Mountain Ash
싯카 마가목, 알래스카 마가목




Phlox caespitosa Nutt.
Tufted Phlox




Cliff Beardtongue도 많았다. 사진 아래쪽 기슭에 피어 있는 꽃은 Cliff Beardtongue다.





Phyllodoce empetriformis
분홍가솔송
Pink Mountain Heather

너덜이 멋져서 시도해봤는데 실패.








호숫가의 들국화
미국 벌개미취가 아닐까 하는데...






Rhododendron menziesii
너도진달래
False Azalea

또 다른 학명으로는 Menziesia ferruginea가 있는데 이는 2011년 멘제시아속(Menziesia)에서 진달래속으로 재분류되기 전의 학명이다. 꽃은 다르나 잎이 진달래와 철쭉과 너무 비슷해서 였을까? False Azalea외에도 Mock Azalea라는 이름을 갖고 있다. 또한 꽃이 허클베리와 닮아보였던지 False huckleberry, Fool's huckleberry로도 불리운다.




Rhododendron albiflorum
케스케이드 진달래
Cascade azalea, White Rhododendron

케스케이드 진달래와 첫만남에서 너도진달래(False Azalea)도 함께 봤다는 사실. 경고 - 케스케이드 진달래는 독성이 강한 식물이라, 꽃을 포함한 어떤 부위라도 사람이나 동물이 섭취해서는 안된다고 한다 . 심지어는 케스케이드 진달래꽃에서 채취한 벌꿀에서 독성이 있을 수 있다고 한다.






학명: Xerophyllum tenax (제로필룸속)
곰풀, 베어그래스
Bear grass

베어그래스 잎은 잔디처럼 생겼지만 볏과 잔디속이 아닌 멜란티움과(Melanthiaceae) 제로필룸속(Xerophyllum)에 속한다. (얼마전까지는 백합과에 속했으나 멜란티움과로 옮겨짐) 곰이 베어그래스의 어린 줄기를 먹는다는 속설이 있으나 곰은 배어그래스를 먹지 않는다. 다만 곰은 베어그래스 잎을 동굴 바닥 깔개로 사용한다고 한다. 양, 사슴, 엘크, 염소는 베어그래스를 먹는 걸로 알려져 있다.





Aruncus dioicus var. acuminatus
Aruncus dioicus (Walter) Fernald var. acuminatus
서양 눈개승마, 서양 삼나물
Western Goat's-beard, Western Goatsbeard, Western Bride's Feather

눈개승마는 누워 자라는 개승마라는 의미, 즉 누운개승마다. 잎이 인삼잎을 닮았다하여 삼나물로도 불린다. 참고로 영어권에는 Goatsbeard라는 이름을 가진 식물이 여러개 있어 주의를 요한다. 당장 구글에서 Western Goatsbeard를 검색하면 서양 눈개승마가 아닌 쇠채아재비 (Tragopogon dubius)를 보여줄 것이다.




Aruncus dioicus (Walter) Fernald var. kamtschaticus
한국 눈개승마, 삼나물
Kamchatka Goatsbeard, Korean Goatsbeard

눈개승마는 어린 싹(순)을 먹는데 한번 맛을 보면 소고기를 마다할 정도로 맛이 좋다는 나물이다. 한국에서는 고산지대에 드물게 서식하는데 여기는 위도가 높은 탓인지 낮은 지대에도 많다. 한국 눈개승마와 서양 눈개승마는 같은 종(Aruncus dioicus)의 변종 사이며 서양 눈개승마 또한 식용이 가능하다고 한다.[3] 요리방법은 눈개승마를 채취·손질하여 데친 다음 말려놨다가 볶아서 먹는다.

건채 한근에 5만원정도에 팔리며 이는 고사리와 비슷한 가격이다.


사진출처: 영양뜰유기영농조합



Astilbe rubra Hook. f. & Thomson ex Hook. f.
노루오줌
Astilbe chinese, False Goatsbeard

노루오줌이 있다. 범의귀과 노루오줌속으로 장미과 눈개승마속의 눈개승마와는 전혀 다른 종이지만 잎은 구분하기 힘들만큼 비슷하다. 오죽하면 영어 이름이 False Goatsbeard(나도 눈개승마)일까? 물론 꽃으로는 두 식물을 구분하는데 어려움이 없으나 꽃이 일년내내 피어있는 것이 아니지 않는가? 나도눈개승마류는 미국 동부지역에서 자생한다하니 이 지역에서는 혼란을 겪을 일이 없어 다행이다.

외관상 차이점은 노루오줌은 꽃대와 잎 뒷면에 털이 나 있고 잎끝이 짧다. 눈개승마도 잎맥에는 털이 나 있으며 잎끝이 눈개승마처럼 긴 노루오줌도 있다 한다.


노루오줌, 설악산 한계령


숙은노루오줌(Korean false goat’s beard), 설악산 한계령



Lilium pardalinum ssp. wigginsii
Wiggins' Lily

Leopard Lily의 변종으로 드문 꽃이다. 꽃의 색은 진한 노란색으로 Leopard Lily의 붉은 주황색과 차별되며 꽃의 크기는 한국 참나리(Tiger Lily)에 비해 2/3정도다.



참나리, Tiger Lily, 무등산



Cirsium vulgare
서양가시엉겅퀴
Bull thistle

국화과 엉겅퀴속의 2년초. 워싱턴주 유해식물 C군(Class C Noxious Weed) 목록에 올라있다.




이젠 너무 익숙해진 난쟁이 딸기, 골무딸기, 홀꽃나도옥잠화, 풀산딸나무
나무딸기류는 난쟁이 딸기, 골무딸기, 연어딸기는 흔했으며 두세 군데의 오엽난쟁이딸기 소규모 군락지도 확인했다.







주차장에 도착
가서 차분히 찍고 싶은데, Rachel Lake Trailhead는 집에서 86 miles 거리다. 혼자 가기에는 좀 먼거리 같기도 하네.




주차장에서 처음 본 나무딸기
California blackberry라 하며 이명으로 Trailing blackberry가 있다. 학명은 Rubus ursinus. 우리나라 줄딸기처럼 땅으로 기어다니는 습성을 가진 덩굴성 나무딸기다.





1. 베어그래스 - Beargrass Blooms in Glacier National Park

2. 케스케이드 진달래 - Rhododendron albiflorum

3. 서양눈개승마 - Aruncus dioicus - (Walter.)Fernald

4. 갈뫼농장 - 눈개승마(삼나물)효능 및 요리법

5. 눈개승마 지상부의 세포독성 및 항산화 성분

6. Seasonal variation in secondary metabolites of edible shoots of Buck's beard...

7. LEOPARD LILY - Lilium pardalinum Kellogg

8. Wiggins' Lily - Lilium pardalinum ssp. wigginsii

9. 서양가시엉겅퀴 Bull thistle - 워싱턴주 유해식물 관리국

10. Rubus ursinus Fact Sheet - Virginia Tech

11. English Names for Korean Native Plants - 한반도 자생식물 영어이름 목록집


12. Wild Edibles: How to Harvest and Cook Cow Parsnip Gre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