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prise Lake
2019년 6월 15일 (토)
Surprise Creek Trail
요즘 다들 시들해졌는지 오늘 산행은 하바수폭포 7월 여행팀 4명뿐이다.
Surprise Creek Trail의 여름은 다양한 꽃들로 지루할 틈이 없다. 게다가 평이한 난이도의 코스라 오르는데 큰 어려움도 없는데 말이지... 여튼, 이곳은 2017년 7월 8일에 이미 한번 왔던 곳이지만 당시에는 7월 초순이었고 오늘은 유월 중순이다 보니 그땐 만나지 못했던 꽃도 몇 있었다. 단지 들고간 카메라가 손떨방이 없는 작고 가벼운 카메라에다 급하게 찍었더니 대부분 초점이 맞질 않거나 흔들린 사진뿐이라서 아쉽다.
물을 좋아하는 녀석들
Caltha leptosepala subsp. howellii
Howell's Marsh Marigold, Borad-leaved Marshmarigold
넓은잎-동의나물
넓은잎동의나물은 미나리아재비과 동의나물속 여러해살이풀로 고산 지역의 냇가 주변에서 자라는 습생 식물이다. 사촌인 흰동의나물(White Marsh Marigold)과 흡사하게 생겼으나 넓은잎동의나물은 잎이 둥근(rounded) 형태를 지녀 폭보다 길이가 긴 모양새를 가진 흰동의나물과 구분된다. 또 다른 동정 포인트는 넓은잎동의나물의 경우 하나의 꽃대가 Y형태로 갈라져서 두 개의 꽃을 피운다. 이는 넓은잎동의나물의 다른 학명인 Caltha biflora ssp. howellii에서 알 수 있는데 여기서 biflora는 두 개의 꽃이라는 의미다. 그리고 워싱턴 케스케이드 산맥에서 만나는 동의나물은 넓은잎동의나물이라 보면 된다.
Dodecatheon jeffreyi Van Houtte
Sierra shootingstar
시에라-별똥별꽃
인디언앵초속(Dodecatheon)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넓은잎동의나물과 마찬가지로 습생식물인지 실개천 주변에서 자라고 있었다. 겉모양으로는 Western Arctic Shootingstar (Dodecatheon frigidum Cham. & Schltdl.) 같지만 미국 농무성 식물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워싱턴주에는 자생하지 않는 종이라고 하여 일단 시에라별똥별로 하기로 한다. (사진 좌측상단의 개구리 주목!)
참고로 다음 사진은 Western Arctic Shootingstar다. 난 담아본 적이 없어 구글을 통해 다른 사람의 사진을 빌려왔다.
(c) Sam Wilson, some rights reserved
Rana cascadae
Cascades frog
캐스케이드 (산맥) 개구리
Cascades frog는 캐스케이드 산맥과 올림픽 산맥에서 서식하는 개구리다. 개구리와 두꺼비의 차이점은 발의 물갈퀴 발달여부다. 카메라 액정으로 봤을 때는 발에 물갈퀴가 없어 개구리처럼 생긴 두꺼비인줄 알았더니, PC로 옮겨 확대하니 물갈퀴 흔적이 보인다. Cascade frog라는 이름의 개구리도 있으니 혼동하지 말자.
Thamnophis elegans
Mountain Garter Snake
마운틴 가터뱀
내 바로 앞에서 노란 긴 줄무늬를 가진 뱀이 트레일을 가로질러 지나 가더라. 워싱턴주에서 처음 본 뱀으로 마운틴 가터뱀 또는 Western Terrestrial Garter Snake라는 이름을 가진다. 비교적 약한 독을 지니고 있지만 그나마 전달할 수단이 없어 -독이빨이 잇몸 속에 파묻혀 있다- 인간에게 큰 위해는 되지 못한다. 마운틴 가터뱀은 물과 가까운 곳에서 활동하며, 또 물에서 많은 시간을 보낸다고 한다. 이는 양서류가 주요 먹이라는 의미겠으며, 아마 캐스케이드 개구리의 천적일거다. 약간 징그럽다보니 사진은 뺀다. 생김새를 확인하고 싶다면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면 두 번째 페이지에 Western Terrestrial Garter Snake 사진이 있다.
재작년에는 드물었거나 못본 녀석들
Mertensia paniculata
Tall Bluebells
큰키블루벨
별똥별꽃 옆에 있어 담았다. 재작년 이곳에 왔을 땐 못봤던 같고, 3년전 레이니어에서 많이 봤었다.
Viola glabella
Yellow Wood Violet
털노랑제비꽃
제비꽃과 제비꽃속의 여러해살이풀(다년초)로 한반도의 경우 함경남도 갑산에서 처음 확인되었다. 남한 지역에서는 높은 산 꼭대기에서 서식한다는 주장이 있으나 아는 바 없다. 한국 털노랑제비꽃의 학명은 Viola brevistipulata var. minor Nakai, 이는 Viola glabella의 이명으로 둘은 서로 같은 종이다. 재작년 7월 초에는 털노랑제비꽃이 그리 많아 보이지 않았었는데 오늘은 제 때인지 무척 흔했다.
워싱턴에는 둥글레가 없다
자주 혼동을 가져오는 백합과 세 개 속의 특징을 간단리 정리해 보자.
Streptopus (죽대아재비속)
Twisted Stalk
지그재그 형태의 줄기
꽃이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Maianthemum (두루미꽃속)
False Solomon's seal
줄기가 곧은 편이다.
꽃이 줄기 끝에 달린다.
Polygonatum (둥글레속)
Solomon's seal
줄기가 곧다.
꽃이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미국에도 둥글레가 있으며 알래스카와 서부 일부 지역을 제외한 미국 전역에서 자생한다. 안타깝게도 워싱턴 주는 둥글레가 서식하지 않는 서부 일부 지역에 포함된다. 아래 수년 전 한국에서 담은 한국 토착종 둥글레로 미국 둥글레와 외관상 외관상 큰 차이가 없어 자료사진으로 썼다. 둥글레를 제외한 나머지 백합과 초본(풀)은 오늘 Surprise Creek Trail에서 찾은 것이다.
Streptopus lanceolatus
Rose Twisted Stalk
자주-죽대아재비
줄기가 곧질 않고 지그재그 형태로 휘어져 있다 하여 영어권에서는 Twisted Stalk이라 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줄기가 마치 대나무처럼 마디가 있는 것 같아 보였던지 죽대아재비라 부른다. 자주색꽃 때문에 영어 이름에 rose가 들어가 있어 자주죽대아재비라 부르기로 한다. 참고로 죽대아재비속에서 우리에게 가장 널리 알려진 종은 금강애기나리(Streptopus ovalis)다.
Maianthemum stellatum
Starry False Lily of the Valley
계곡의 별꽃나리
우리나라에서는 Maianthemum을 두루미꽃으로 적는다. 그러니깐 계곡의 별꽃나리는 백합과 두루미꽃속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미국 남부 8개주를 제외한 전체, 캐나다 전체, 알래스카에서 서식하는 흔한 꽃이며 다른 이름으로는 Treacleberry, Feathery False Lily of the Valley가 있다.
Maianthemum racemosum
False Solomon's Seal
미국 풀솜대
많은 사람들이 둥글레로 착각하는 미국 풀솜대는 하와이를 제외한 (알래스카를 포함한) 미국 전역에 분포하는 풀이다. 유사종으로 한국 풀솜대(Maianthemum japonicum, 솜죽대, 지장보살)가 있으며 한국 풀솜대의 영어 이름은 Japanese false solomon's seal이다. 여기서 영어 이름 자세히 들여다 보자. 둥굴레 혹은 둥글레속 초본을 Solomon's seal라 하는데 풀솜대의 영어 이름은 False Solomon's seal이다. 이는 서양 사람들 눈에도 풀솜대가 둥글레와 구분이 어려웠다는 말이 아니겠는가? 적어도 꽃이 달리기 전에는 말이다.
아래는 형태는 다르지만 역시 백합과에 속하는 것들이다. 각각 백합과 두루미꽃속 큰두루미꽃(False Lily of the Valley)과 백합과 나도옥잠화속 홀꽃나도옥잠화(Bride's Bonnet )다.
약이 되는 녀석들
Valeriana officinalis L.
Garden valerian, Common valerian
서양 쥐오줌풀
쥐오줌풀 어린 잎은 식용으로 뿌리는 약용으로 쓰인다. 고래로 비단 동양 뿐만 아니라 서양에서도 쥐오줌풀 뿌리는 오래전부터 효과 좋은 약으로 알려져 왔다. 불면증에 특히 효과가 있으며 마음을 편하게 하여 우울증을 가라앉혀준다고 한다. 알려진 부작용도 없다. 아마존에서 Valerian을 검색하면 100개 이상의 제품이 쏟아지는 걸 보면 그만큼 서양인의 생활속에 파고 들었으며 인기 또한 있다는 말이겠다.
Prunella vulgaris
Common Selfheal
꿀풀
영어 이름이 재밌는 풀이다. Common Selfheal외에 이명으로 Heal-all, Woundwort, Heart-of-the-earth, Carpenter's herb, Brownwort, Blue curls 등이 있는데... Selfheal, Heal-all이라니! 거기에 또 Heart-of-the-earth은 뭔가? 뭔가 황당하기도 하고 허황되어 검색해 봤더니 아주 만병통치약이다. 소염, 살균에서부터 시작하여 부농, 이뇨작용, 소화불량에다가 고혈압에 좋단다. 게다가 달여서 먹으면 림프종에 활용하고 갑상선암, 유방암, 간암에 좋다고 한다. 꿀풀 추출물이 인지수행력(Cognitive Performance)을 향상시킨다는 논문도 있다.[3]
쥐오줌풀 추출물처럼 꿀풀 또한 많은 업체들이 추출물을 캡슐화 하거나 크림으로 만들어 아마존에서 판매하고 있다. 어린 잎과 줄기는 샐러드용으로 그리고 삶을 경우 꿀풀 전체를 먹을 수 있다고 한다.
이쁜 녀석들
Lonicera involucrata
Twinberry honeysuckle
쌍괴불나무
Pyrola asarifolia
Pink Wintergreen
분홍 노루발풀
이명: Liverleaf wintergreen, Bog wintergreen
Leucanthemum vulgare Lam.
Oxeye daisy
유럽 구절초, 여름 구절초
요즘 도로변에 작고 흰 꽃이 군락을 이루고 있다면 여름 구절초가 틀림없다. 유럽 원산의 들국화지만 고향을 그리는 유럽인들이 들여와서 정원에 심었던 것이 빠져 나가 야생에서 토착화 되었으며 알래스카를 포함한 북미 전역으로 퍼져 있다. 이명으로 Moon-daisy, Marguerite 등이 있는데 Marguerite는 daisy를 뜻하는 프랑스 단어다. 라트비아의 나라꽃이라 한다. 영화광인 내게 있어 여름 구절초는
밀라 요보비치(Milla Jovovich)가 주연한 영화 잔다르크에서 아역 잔다르크가 영국군에게 죽임을 당한 엄마의 무덤에 올려주던 그 꽃이다.
뱀다리
여기 한글 이름 공식명이 아니라 대부분 내가 붙여준 것이다. 열여덟 장의 사진 중에서 열두 장은 2년전 산행길에 이곳에서 찍었거나 또는 다른 곳에서 찍은 사진이다.
참고 사이트
2. White Marsh Marigold
3. Standardized 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Extract Enhances Cognitive Performance in Normal Naive Mice.
4. The Status of Huckleberries in Washington St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