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배경의 접사 사진
2019년 2월 3일 (일)
배경을 검게 만드는 접사 사진에 대한 이야기가 나와서 여기 정리해 봅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이것은 콜럼버스 달걀처럼 아주 간단한 촬영법입니다.
플래시를 사용한다.
플래시로 접사 혹은 근접 촬영시 배경이 저절로 검게 됩니다. 배경이 검게 되는 이유는 빛의 밝기는 광원과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광원(플래시)에서 가까울수록 거리에 따른 밝기 차이가 심해지기 때문이죠. 이런 사진을 찍을 때는 가능한 플래시를 피사체 가까이 들이대야 하므로 접사렌즈와 링플래시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 작은 단점이 있는데, 당연하겠지만 거추장스러운 접사용 링플래시를 들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함께 합니다.
접사렌즈와 링플래시를 사용했습니다. 흰산부추꽃에 노출을 맞춘 다음 가능한 피사체(흰산부추꽃)에 가까이 들이댄 채 셔터를 누릅니다.
접사렌즈(환산 45mm), 링플래시, 낮시간 숲속
최단촬영거리(최소초점거리)가 짧은 광각렌즈를 이용하여 플래시를 역시 가능한 피사체에 가깝도록 하였습니다.
광각렌즈, 일반플래시, 가로등 환한 새벽 공원
응용편이라고나 할까요? 원리는 같지만 일반 플래시 대신 다중 섬광 플래시(multiflash)를 사용했습니다. 카메라는 삼각대에 얹혔고 노출 시간은 2초입니다. 15년전 500만 화소의 카메라로 찍은 탓에 화질은 요샛말로 안습이네요.
Sony F707, multiflash, 실내, 암막
햇빛을 이용한다
햇빛의 광원인 태양은 지구와 아주 멀리 떨어져 있지요.
1/r2 그래프를 그려보면 알 수 있겠지만 무한대에 가까이 멀리 떨어진 경우 1 ~ 2 m 정도의 거리에 따른 밝기차는 거의 없다고 보면 됩니다. 따라서 태양빛을 광원으로 할 경우 어두운 배경이 필요합니다. 주변의 그늘을 배경으로 삼거나 검은 천을 사용하여 인위적으로 어두운 배경을 만들어 줘야 합니다.
자, 아래 사진에서 능소화꽃은 강한 햇빛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처마의 그늘을 배경으로 능소화를 찍는다면 어떤 사진이 만들어 질까요?
능소화
이런 사진이 됩니다. Surprise Creek Trail에서 만난 너도진달래인데 미국에도 떡병이 있구나 싶어 담았습니다. 이 방법은 간편하지만 치명적인 제약 혹은 단점이 있습니다. 피사체에 강한 햇빛이 직사해야 되며 주변에 그늘이 있어야 합니다. (들풀이 가득한 초원에서 그늘을 찾기는 무척 어렵죠.) 또한 그늘의 위치가 촬영 방향을 강제하므로 원하는 구도의 사진을 얻기 힘듭니다.
너도진달래(False Azalea)
피사체에 빛이 부족하면 거울로 빛을 비춰주고, 배경에 그늘이 부족하거나 그늘이 거의 없는 경우 검은 천으로 그늘을 만들기도 하더군요. 아래 사진의 경우 뒤에 검은 천을 두고 거울을 이용하여 햇빛을 피사체(산얼레지꽃)으로 비춘다면 이글 맨 첫 번째 흰산부추꽃 접사 사진같은 사진이 되지 않을까요? 이 방법은 주변에서 하는 걸 봤지만 저는 안해봤습니다.
산엘레지(avalanche lily)
접사렌즈로 배경 뭉게기
배경을 검게 만드는 접사 촬영법은 다들 호기심에 적어도 한두 차례는 시도해 봅니다. 저도 마찬가지였습니다만 개인적으로는 자연스러운 접사 사진이 더 좋았습니다. 아래 사진은 둘다 Sony FE 90mm f/2.8 매크로 렌즈로 찍었지만 모든 접사렌즈는 접사 촬영시 기본적으로 배경을 뭉게 버릴 수 있다고 보면 됩니다.
가을 야생화의 여왕이라는 별명을 가진 물매화는 한국에서 찍었고 산얼레지는 레이니어 산에서 찍은 겁니다. 여기 워싱턴에도 물매화가 있더군요. Yellow aster butte trail에서 fringed grass of Parnassus를 만났는데 이게 한국 물매화와 같은 범의귀과 물매화속의 식물입니다.
f/8, 물매화
f/5.6, 산엘레지(avalanche lily)
빛의 특성 이해
간략하게 관련된 빛의 특성을 알아보고 끝내겠습니다. 태양이나 전구 등의 광원에서 나오는 빛은 거리에 상관없이 총량은 항상 일정하지만 거리가 멀어 질수록 빛이 비추는 구(球)의 표면적이 커지므로 면적당 빛의 밝기는 감소하게 됩니다. 즉 빛의 밝기는 구(球)의 표면적(4πr2)에 반비례하게 되는 것이죠. 이것을 차트로 그려보면 아래 형태의 그래프가 만들어집니다.
아래 그래프에서 주목할 것은 가로축 1과 2사이의 빛 밝기의 감소 정도 입니다. 1에서 1.0이던 밝기가 2에서는 거의 0.2, 즉 밝기가 1/5로 떨어졌습니다. 이런 이유로 플래시를 피사체에 들이대듯이 가깝게 사용할 경우 급격한 밝기의 감소로 배경이 검게되는 효과가 생깁니다. 물론 카메라 플래시는 태양과 달리 한쪽으로만 퍼져나가므로 그래프 형태가 약간 다를 수 있겠지만 기본적인 형태는 흡사하다고 보면 됩니다. 사실은 게을러서 엑셀로 제일 간단한 그래프만 그려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