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서양 산사나무

레드얼더 2018. 5. 13. 07:39

작년 가을 찍어 뒀던 산사나무 열매.
학명은 Crataegus monogyna, 영명은 Common Hawthorn, 그러니까 직역하면 그냥 산사나무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산에 있는 산사나무는 뭘까? 우리나라 산에 있는 산사나무의 영어 이름은 Chinese Hawthorn, 중국 산사나무다. 여튼, 그렇다는 것이고, 우리나라에서는 Crataegus monogyna를 모노기나 산사나무라 부르는 것 같다.


2017년 10월 30일





모노기나 산사나무의 또다른 영어 이름은 Single-seeded Hawthorn. 이번 가을에 확인해 봐야 겠지.


2018년 5월 12일







2018년 5월 19일

꽃이 지면서 분홍색으로 변한다더니 며칠만에 찾은 모노기나 산사나무 꽃은 분홍빛을 띄기 시작했다. 꽃에서는 콩배나무꽃 향이 나는 것 같다. 그러니까 약한 밤꽃냄새 혹은 비린 냄새라고나 할까?





2018년 11월 5일




최근 정원에서 많이 심는 산사나무는 서양산사나무(Crataegus laevigata 'Paul's Scarlet')로 진한 분홍의 겹꽃을 피운다. 먼저 잎이다. 위 사진은 모노기나 산사나무 잎이고 아래 사진은 서양산사나무 잎이다.





오늘 오후 산책 나갔던 메도데일 비치 파크에서 담은, 또 다른 종의 산사나무로 추정되는 나무인데, 아마 Crataegus succulenta인 것 같다. 학명에서 succulenta는 영어로 scculent며 즙/액이 많다는 뜻이다. scculent는 명사로서는 다육식물을 뜻한다. '과육이 많은/즙이 많은' 뜻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이 산사나무 영어 이름은 fleshy hawthorn, 또는 succulent hawthorn다. 다육 산사나무, 다즙 산사나무로 옮기면 될까? 좀 어색할까?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