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prise Creek Trail
2017년 7월 8일 (토)
Surprise Lake - Surprise Creek Trail
함께 한 일행들은 Glacier lake로 오르고 나 혼자 Surprise lake 남았다. 혈압약 며칠 안먹었더니 몸이 따라주질 않는다.
호숫가에 자릴 잡고 앉았다. 여기 저기 camper들의 텐트가 보이고 내 옆에는 백인 남성이 호수에 낙시대를 드리우고 있다. 송어 낚시란다. 배낭에서 꺼낸 유부초밥과 일행에게 얻은 제주 무우말랭이로 점심을 갖는다.
점심을 마치고 호수의 다른 쪽으로 왔다. 호반에는 분홍가솔송과 알래스카 마가목도 제법 보였지만 두 종의 산앵두나무속(Vaccinium) 식물이 제일 흔타.
Phyllodoce empetriformis
Pink Mountain Heather
분홍가솔송
워싱턴 산악지역에서 처음 본 가솔송. 꽃은 작지만 꽤 이쁘다. 더구나 한국에서는 백두산에 가야만 볼 수 있는 꽃이라선지 더욱 특별한 느낌으로 다가온다.
Sorbus sitchensis var. grayi
Gray's Mountain Ash, Sitka Mountain Ash
싯카 마가목, 알래스카 마가목
알래스카 마가목은 박토에서도 잘 자란다고 한다. 그렇다면 화산재로 이뤄진 워싱턴주 산만한 박토가 어딧겠는가? 호흡기 질환에 좋고 암치료에도 이용된다고 하는 알래스카 마가목이지만 과용할 경우 오히려 호흡기를 망쳐 죽음에까지 이르게 될 수 있다고 하니 주의해야 하겠다.[1]
Vaccinium deliciosum
Rainier Blueberry
레이니어 블루베리
이명: Blueleaf Huckleberry, Blue-leaved Huckleberry, Cascade Bilberry, Cascade Blueberry, Cascade Huckleberry
이름이 여럿인데 셋은 허클베리, 둘은 블루베리, 그리고 빌베리가 한 개 있다. 나는 이중에서 레이니어 블루베리를 선택한다. 이유는 두 가지다. 첫번째는 내가 레이니어 산을 좋아해서고 두번째는 레이니어 블루베리라는 표식을 언뜻 본 것 같아서다. 참고로 카일루사키아속(Gaylussacia)의 허클베리가 따로 있는 동부 및 남부와 달리 북부와 서부에서는 허클베리, 블루베리, 빌베리가 그냥 혼용되는 듯하다.[2]
레이니어 블루베리가 제일 흔했고 그 다음으로는 이 녀석이다. 수고는 1 m 남짓하고 잎끝이 레이니어 블루베리에 비해서는 날카롭다. 꽃과 잎 형태로 봐서는 아마 Thinleaf huckleberry 같다.
Vaccinium membranaceum Douglas ex Torr.
Thinleaf huckleberry
얇은잎 허클베리
이명: Mountain bilberry, tall huckleberry, big huckleberry, mountain huckleberry, square-twig blueberry, black huckleberry
Caltha leptosepala subsp. howellii
Howell's Marsh Marigold, Borad-leaved Marshmarigold
넓은잎-동의나물
넓은잎동의나물은 미나리아재비과 동의나물속 다년생 초본으로 고산 지역의 흐르는 냇가 주변에서 자라는 습생 식물이다. 한국 동의나물과 외관상 무척 흡사하나 꽃의 색이 흰색이다.
Surprise lake 바로 옆, 호수에서 흘러나오는 물로 이뤄진 습지에 서식하는 고산흰동의나물을 담고나서 하산을 시작한다.
또 다른 산앵두나무속인 알래스카 블루베리다. 알래스카 블루베리부터는 발길 닫는 순서에 상관없는 구성을 했다. 같은 과, 속의 식물들은 한군데로 모아서 나열했다는 말이다.
Vaccinium ovalifolium var. ovalifolium
Alaska blueberry
알래스카 블루베리, 난형잎 블루베리
이명: Early blueberry, Oval-leaf bilberry, Oval-leaf blueberry, and Oval-leaf huckleberry
아무래도 Surprise lake 호반에서 담은 얇은잎 허클베리다. 호반의 빌베리는 지금 꽃을 피우고 있으나 한시간쯤 하산한 지점의 빌베리는 열매가 제법 크게 영글어 있는 상태라고나 할까? 여튼 일단은 얇은잎 허클베리라 해두자.
Vaccinium membranaceum Douglas ex Torr.
Thinleaf huckleberry
얇은잎 허클베리
이명: Mountain bilberry, tall huckleberry, big huckleberry, mountain huckleberry, square-twig blueberry, black huckleberry
Rubus spectabilis
Salmonberry
연어딸기
Trailhead에서 빨갛고 노랗게 익은 연어딸기를 따먹고 올라 왔는데 Surprise lake 주변의 연어딸기는 이제야 꽃망울을 터뜨린다.
연어딸기 꽃은 1시 43분에 찍었으며, 아직 덜익은 연어딸기는 3시 33분에, 노랗게 익은 딸기는 5시 19분에 담았다.
Rubus lasiococcus
Roughfruit berry, Dwarf bramble
난쟁이딸기
난쟁이딸기도 트레일 내내 만날 수 있었던 딸기.
Rubus pedatus
Five-leaf Dwarf Bramble
다섯잎난쟁이딸기
키는 난쟁이딸기 비슷하지만 잎은 난쟁이딸기의 2/3정도 크기다.
Rubus parviflorus
Thimbleberry
골무딸기
햇볕이 잘드는 따뜻한 곳을 좋아한다. 대체적으로 산아래부터 산중턱까지 양지바른 곳에 분포하고 있다.
Viola glabella
Yellow Wood Violet
털노랑제비꽃
제비꽃과 제비꽃속의 다년초로 한국에는 함경남도 갑산에서 처음 확인되었다. 남한지역에서는 높은 산 꼭대기에서 서식한다는 주장이 있으나 아는 바 없다. 한국 털노랑제비꽃의 학명은 Viola brevistipulata var. minor Nakai이지만 이는 Viola glabella의 이명으로 둘은 서로 같은 종이다.
Viola macloskeyi
Small White Violet
미국 콩제비꽃
제비꽃을 동정하기란 쉽지 않다. 흰색만 해도 십여종이 훌쩍 넘은대다 이게 저것 같고 저게 이것 같아 애를 먹게 된다. 흰꽃에 줄무늬를 가진 제비꽃을 찾아보니 Dwarf marsh violet(Viola epipsila) 와 Marsh violet (Viola palustris L.)말고도 서너 개가 더 있다. Viola blanda도 꽃잎에 파란색 줄무늬를 가지고 있으나 미국농림성 식물정보(USDA Plant Database - https://plants.usda.gov/java/)에 따르면 북미 서부쪽에는 서식하지 않는다 하여 후보군에서 제외했다. 동정을 하다보니 골머리도 아프고 시간도 많이 걸려서 중단하고 워싱턴/오레곤 지역에서 자생한다는 Viola macloskeyi로 정한다. 한글 이름은 우리나라 콩제비꽃(Viola verecunda A.Gray)과 비슷하여 미국 콩제비 꽃이라 했다.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더욱 자세하게 담아와 다시 도전해봐야 겠다.
Trillium grandiflorum var. roseum
Rose Trillium
분홍 서양연령초
서양 연령초의 변종. 핑크색 꽃이 핀다.
Valeriana officinalis L.
Garden valerian, Common valerian
서양 쥐오줌풀
쥐오줌풀은 어린잎은 식용으로 뿌리는 약용으로 쓰인다. 비단 동양뿐이 아니다. 유럽에서도 쥐오줌풀 뿌리는 오래전부터 만병통치약으로 알려져 왔다. 불면증에 특히 효과가 좋고 마음을 편하게 해주어 우울증을 가라앉혀준다고 한다. 알려진 부작용도 없다. 아마존에서 Valerian을 검색하면 100개 이상의 제품이 쏟아진다. 그만큼 서양인들의 생활속에 파고들었으며 인기 또한 있다는 말이겠다.
Brachythecium salebrosum
Brachythecium moss
양털이끼
양털이끼과 양털이끼속은 분명한데 정확한 종명은 알 수 없다. 일단 종명을 Brachythecium salebrosum로 추정하여 기록해 둔다.
Brachythecium salebrosum
Western Wild Ginger
서양 족도리풀, 끈족도리풀
이명으로 Long tailed wild ginger가 있는데 이를 긴꼬리족도리풀이 옮기려니 좀 어색하다. 그래서 긴꼬리 대신 '긴끈이 달린 족도리풀'의 뜻으로 끈족도리풀로 옮긴다.
떡병균이라는 식물 병원균이 있다. 떡병균은 떡병균과(Exobasidiaceae) 떡병균속에 속하며 종류는 대략 50여종이다. 일반에게는 철쭉떡병균(Exobasidium vaccinii var. japonicum) 차나무떡병균(Exobasidium vexans)이 가장 많이 알려져 있는데 각각 진달래나뭇과나 차나뭇과 식물에 기생한다. 이 균이 기생하면 잎이나 꽃잎, 간혹 어린 가지 등이 부풀어 오르고 백색화되어 떡과 같은 모양이 되므로 떡병이라 한다.
한국 아파트 화단이나 공원에는 영산홍이 많이 심겨져 있다. 화단에 심겨진 영산홍을 자세히 관찰해보면 반드시 한두 그루는 철쭉떡병에 걸려 있음을 알게 된다. 오늘 산행 중에 떡병걸린 잎을 봤다. 잎의 형태가 진달래나 철쭉의 잎을 닮았으니 아마도 철쭉떡병일 것이다. 그러니까 워싱턴 주 산에도 진달래, 철쭉이 자생하고 있다는 말이다.
그랬다. 미국 산에도 진달래가 자생하고 있었다.
Rhododendron menziesii
False Azalea
너도진달래
너도진달래의 또 다른 학명은 Menziesia ferruginea인데 이는 2011년 멘제시아속(Menziesia)에서 진달래속으로 재분류되기 전에 가졌던 학명이다. 꽃은 일반 진달래와 다르지만 잎이 진달래와 철쭉과 너무 비슷해서 였을까? False Azalea외에도 Mock Azalea라는 이름을 갖고 있다. 또한 꽃이 허클베리와 닮아서 False huckleberry, Fool's huckleberry로도 불린다.
너도진달래는 진달랫과 진달래속에 속하는 진달래류가 맞다. 하지만 너도 진달래의 꽃은 우리가 알고 있는 진달래나 철쭉과는 많이 다르다보니 영 개운치 못한 것도 사실이다. 근데 한국에도 너도진달래처럼 특이한 형태와 크기의 꽃을 가진 진달래가 있다. 진달랫과 진달래속의 꼬리진달래가 그것인데, 만개한 흰색꽃의 크기가 페니 동전보다 작거나 비슷하다.
Lupinus latifolius
Broadleaf Lupine
넓은잎 루핀
Aquilegia formosa
Western Columbine
서양매발톱꽃
심홍색 매발톱꽃(crimson columbine), 붉은 매발톱꽃(red columbine)이라는 이름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Columbine을 매발톱꽃으로 번역했지만 본디 뜻은 어릿광대의 연인이다. 같은 꽃을 보면서 동양인은 매발톱을 떠올리고 서양인은 어릿광대의 모자를 그리고 있을 지 모른다.
Dicentra formosa
Pacific Bleeding Heart, Dutchman's Britches
태평양금낭화
Tiarella trifoliata var. unifoliata
oneleaf Foamflower, False Mitrewort(?)
홀잎 헐떡이풀
Claytonia sibirica
Siberian Spring Beauty, Siberian Miner's Lettuce, Candy Flower
클레이토니아
클레이토니아 꽃과 잎은 훌륭한 샐러드 재료다.
Ribes bracteosum
Stink currant
냄새 까치밥나무 (직역)
Penstemon serrulatus
Cascade Penstemon, Coast Penstemon
케스케이드 펜스테몬
홀꽃나도옥잠화와 풀산딸나무는 어느 산에 가던지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는 것 같다. 둘 중에서는 풀산딸나무보다는 홀꽃나도옥잠화가 더 흔한데, 그 이유는 후자는 음지식물이며 고도 구분없이 잘 자라지만 전자는 양지를 선호하며 비교적 기온이 높을 저지대에서 서식하기 때문이다. 산이 높고 숲이 울창한 워싱턴주 산악지역 특성상 홀꽃나도옥잠화 개체가 더 많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Clintonia uniflora
Bride's Bonnet, Queen's Cup
홀꽃나도옥잠화
Cornus canadensis
Canadian bunchberry
풀산딸나무
워싱턴주에서 만날 수 있는 풀산딸나무는 Cornus canadensis와 Cornus unalaschkensis 이렇게 2종이다. 또 다른 풀산딸나무로는 Cornus suecica라는 종이 있으나 알래스카와 브리티시 컬럼비아에서만 자생한다고 한다. 따라서 오늘 담아온 풀산딸나무는 Cornus canadensis 아니면 Cornus unalaschkensis일텐데.. 솔직히 더 이상은 모르겠다. 참고로 Cornus canadensis는 한국 풀산딸나무와 동일한 종이다.
자주 혼동을 가져오는 백합과 세 개 속의 특징을 간단리 정리해 보자.
Streptopus (죽대아재비속)
Twisted Stalk
지그재그 형태의 줄기
꽃이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Polygonatum (둥글레속)
Solomon's seal
줄기가 곧다.
꽃이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Maianthemum (두루미꽃속)
False Solomon's seal
줄기가 곧은 편이다.
꽃이 줄기 끝에 달린다.
Streptopus lanceolatus
Rose Twisted Stalk
장미죽대아재비
줄기가 곧질 않고 지그재그 형태로 휘어져 있다 하여 영어권에서는 Twisted Stalk이라 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줄기가 마치 대나무처럼 마디가 있는 것 같아 보였던지 죽대아재비라 부른다. 영어 이름에 rose가 들어가 있는데 이를 직역하여 장미죽대아재비라 부르기로 한다. 참고로 죽대아재비속에서 우리에게 가장 널리 알려진 종은 금강애기나리(Streptopus ovalis)다.
Maianthemum stellatum
Starry False Lily of the Valley
계곡의 별꽃나리
우리나라에서는 Maianthemum을 두루미꽃으로 적는다. 그러니깐 계곡의 별꽃나리는 백합과 두루미꽃속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미국 남부 8개주를 제외한 전체, 캐나다 전체, 알래스카에서 서식하는 흔한 꽃이며 다른 이름으로는 Treacleberry, Feathery False Lily of the Valley가 있다.
Maianthemum racemosum
False Solomon's Seal
미국 풀솜대
하와이를 제외한 (알래스카를 포함한) 미국 전역에 분포하는 풀이다. 유사종으로 한국에 풀솜대(Maianthemum japonicum, 솜죽대, 지장보살)가 있으며 한국 풀솜대의 영어 이름은 Japanese false solomon's seal이다.
Sambucus cerulea
Blue Elderberry, Blue Elder
케스케이드 딱총나무
연복초과 딱총나무속의 낙엽관목(잎지는 작은키나무)이다. 연복초과는 인동초과에 포함되는 연복초속이었으나 최근 분가(?)하였다. 한국 딱총나무(Korean elder)는 이명이 많은데, 개똥나무, 말오줌나무, 오른재나무, 지렁쿠나무가 있으며 한방에서는 접골목(接骨木)이라고 한다. 말이 오줌을 잘 누지 못할 때 달여 먹이면 오줌을 잘 눈다하여 말오줌나무라는 이름을 얻었다. 접골목을 뼈가 부러지고 금이 가거나 혹은 삐었을 때 달여 마시고 또한 잎이나 수피를 찧어서 해당 부위에 붙이면 통증이 금새 사라지고 붓기가 빠지면서 낫는다고 한다.
열매로 술을 담궈도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한다. 배뇨가 수월해지며 신경통 류마티스 관절염에 효험이 있고 타박상이나 골절로 인한 통중을 없애준다. 열매가 빨갛게 익는 한국 딱총나무와 달리 Blue elder는 청색으로 익는다.
Aruncus dioicus (Walter) Fernald var. acuminatus
Western Goatsbeard
서양 눈개승마, 서양 삼나물
이명: Western bride's feather
Pyrola asarifolia
Pink Wintergreen
분홍 노루발풀
이명: Liverleaf wintergreen, Bog wintergreen
Prunella vulgaris
Common Self-heal
꿀풀
이명: Heal-all, Woundwort, Heart-of-the-earth, Carpenter's herb, Brownwort, Blue curls
Heal-all이라니! 이름이 약간 황당하기도 해서 찾아보니 이것 또한 만병통치약이다. 소염, 살균에서부터 시작하여 부농, 이뇨작용, 소화불량에다가 고혈압에 좋단다. 게다가 달여서 먹으면 림프종에 활용하고 갑상선암, 유방암, 간암에 좋다고 한다. 꿀풀 추출물이 실험 쥐의 인지수행력(Cognitive Performance)을 향상시켰다는 논문도 있다.[4]
쥐오줌 추출물처럼 많은 업체들이 꿀풀 추출물로 만든 캡슐이나 크림을 아마존에서 팔고 있다. 어린 잎과 줄기는 샐러드용으로 그리고 삶을 경우 꿀풀 전체를 먹을 수 있다고 한다.
Leucanthemum vulgare Lam.
Oxeye daisy
유럽 구절초
유럽 원산의 들국화로 미국 본토, 캐나다, 알래스카를 포함한 북미 전역에 퍼져있다. 이명으로 Moon-daisy, Marguerite 등이 있는데 Marguerite는 daisy를 뜻하는 프랑스 단어다. 라트비아의 국화라고 한다.
Chamaenerion angustifolium
Fireweed
분홍바늘꽃, 버들잎바늘꽃
Lonicera involucrata
Twinberry honeysuckle
쌍괴불나무
2. Difference Between Blueberries & Huckleberries
3. Ohio Nature - Common Blue Violet, Viola sororia
4. Standardized 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Extract Enhances Cognitive Performance in Normal Naive M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