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리븐워스의 고광나무

레드얼더 2017. 6. 18. 22:02

2017년 6월 18일
발디산 산행 다음날 아침, 이불 속에서 게으름을 피우고 있는데 아들이 리븐워스에 가잔다. 뭐 따라나설 수 밖에...




한바퀴 돌고나서 점심을 먹고 주차장으로 향하는데 길건너에 낯익은 꽃이 피어있다. 가까이 가보니 꽃이 약간 다르다는 것을 빼곤 잎이나 수피 그리고 열매의 흔적이 고광나무와 흡사하다. 아참, 꽃에서 좋고 강한 향기가 난다는 점도 다르겠다.






영어 이름이 궁금하여 옆에 있는 금발의 부부한테 물어보니 Honey Suckle이란다. 검색해보니 Honey Suckle은 인동초라는데 말이다. 여튼 덕분에 인동초의 영어이름도 배웠고...




이 나무의 학명은 Philadelphus lewisii Pursh며 영어 이름은 Lewis' mock orange 또는 Gordon's mockorange, Indian arrowwood, wild mockorange 등의 이명을 가진다. 고광나무 일종으로서 워싱턴주의 유일한 자생 고광나무다. 참고로 고광나무는 한국에 10여종, 전세계적으로는 60여종이 있다. Oceanspray (학명 Holodiscus discolor)라는 워싱턴주 자생 관목이 있다. Oceanspray는 arrowwood라는 이명을 가지는데 이명처럼 북미 인디언들은 이 나무로 활과 화살 또는 작살을 만들어 썼다고 한다. 근데 Lewis' mock orange 또한 Indian arrowwood라는 이명을 가지고 있네.




참고로 인동초 혹은 인동덩굴은 이렇게 생겼다. 희거나 노란색의 꽃을 피우며 Lewis' mock orange처럼 아주 강한 꽃향기가 난다. (붉은색 꽃도 있다.) 하지만 그닥 고광나무 꽃과 닮았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 꽃이다.




독일에서 수입했다는 밀맥주 맛을 빼곤 아쉬움이 약간 드는 리븐워스였지만 Wenatchee 강 급물살의 위용이 그 아쉬움을 채워준다.




뱀다리:

어찌보면 고광나무꽃이 오렌지나무 꽃을 닮은 것 같기도 하여 Mock orange라는 이름은 이해한다고 치자. 하지만 고광나무꽃이 산딸나무와 어디 닮은 구석이 있다고 English Dogwood라고 부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