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니어산 - 산딸기
산딸기와는 인연이 없었던 3월 호주 블루 마운틴스 국립공원과 포트캠밸 국립공원 탐방 때와 달리
이번 미국 레이니어 산 국립공원에서는 산딸기 4종 그리고 야생 딸기 1종과 첫 만남을 가졌다.
속명: Salmonberry
분류: 장미과 산딸기속
학명: Rubus spectabilis
새먼베리는 알래스카에서 캘리포니아에 이르는 북미 서부 해안지역에서 서식하며 초봄인 4월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다.
6월인 지금까지 꽃이 남아 있는 것은 레이니어산이 기온이 낮은 고산지대이기 때문이리라.
대개 빨갛거나 검게 익는 다른 산딸기와 달리 잘 익은 새먼베리는 오렌지 색이다.
새먼베리를 직역하면 연어딸기다.
연어딸기라는 이름을 얻게 된 이유에는 여러가지 설이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잘익은 연어딸기의 색이 연어 알의 색과 유사한 연유에서 란다.[1]
이밖에도 토착민들이 연어딸기를 연어와 함께 먹거나, 율라칸이라는 바다빙어기름 혹은 연어 알(salmon roe)과 섞어 먹는다거나 연어딸기가 풍성하게 열리는 해에는 연어가 많이 올라올거라는 샐리시족의 속담[2] 등 연어와 연관되어 있다.
속명: Pacific dewberry
분류: 장미과 산딸기속
학명: Rubus ursinus
롱마이어 박물관(Longmire Museum)주변 수풀에서 담은 블랙베리 혹은 듀베리로서 속명 뿐 아니라 학명 또한 유난히 많다. Oregon dewberry, Pacific blackberry, Pacific dewberry, California blackberry, California dewberry, Douglas berry 그리고 Trailing blackberry. 또 학명으로는 Rubus ursinus, Rubus vitifolius 등등 대여섯개가 있다.[4]
북미 서부 토종으로 남북으로는 캐나다의 브리티시 컬럼비아에서 멕시코의 바자 캘리포니아까지 동서로는 몬타나에서 캘리포니아까지 확인되고 있다.
가장 도드라진 특징은 잎 가장자리의 톱니무늬로 마치 특수한 핑킹 가위로 잘라놓은 듯한 강한 인상을 준다.
속명: Thimbleberry
분류: 장미과 산딸기속
학명: Rubus parviflorus
스티븐스 협곡(Stevens Canyon)을 지나는 도로변에서 찍은 것이다.
햇볕이 잘드는 곳이라 제법 고지대임에도 팀블베리를 만날 수 있었던 것 같다.
저지대인 니스퀄리 입구(Nisqually Entrance) 주변과 니스퀄리 입구로 연결되는 도로(National Park HWAY)변에는 지천으로 피어 있었다.
속명: Roughfruit berry, Dwarf bramble
분류: 장미과 산딸기속
학명: Rubus lasiococcus
야생 블렉베리 일종으로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에서 미국 캘리포니아에 이르는 북미 서부지역 토착종이다.
덤불형태로 자라는 다른 산딸기와 달리 지면을 따라 자라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나와 뻗어 나가는 줄기, 즉 포복성(匍匐性) 줄기의 산딸기다.
키가 작아서 Dwarf bramble(난장이 산딸기), 포복성인 탓에 Creeping raspberry라 부르기도 한다.
속명: Virginia strawberry, Wild strawberry
분류: 장미과 딸기속
학명: Fragaria virginiana
국명: 북미 야생 딸기
레이니어 산 국립공원 쿠거 폭포(Cougar Falls) 인근에서 담은 야생딸기로 밭딸기의 직계 조상.
현재 딸기 농가에서 재배되는 밭딸기(개량종 딸기)는 프랑스에서 이 버지니아 딸기와 칠레딸기(Chilean strawberry)를 교배하여 얻은 품종이다.
속명: Bunchberry, Canadian dogwood
분류: 층층나뭇과 층층나무속
학명: Cornus canadensis
국명: 풀산딸나무
레이니어산에서 만난 층층나뭇과의 식물로서 산딸기와는 관련이 없다.
단지 이름이 풀-산딸-나무며, 영어 이름에도 -berry가 달려있어 여기 넣어봤다.
꽃과 잎의 모양이 산딸나무와 흡사하며 상록떨기나무라지만 줄기는 풀과 같으며 키는 15cm를 넘지 않는다.
속명: Blackberry
분류: 장미과 산딸기속
학명: Rubus fruticosus
국명: 서양오엽딸기
시애틀이나 린우드 등지의 도시 지역 도로변 풀숲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산딸기.
유럽 원산이지만 강한 번식력 탓에 전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퍼져있는 산딸기 중의 하나다.
입구부터 600m가 넘는 레이니어산에서는 만나질 못했지만 도시 저지대에는 매우 많았다.
참고한 사이트
1. http://www.goodfoodworld.com/2012/12/salmonberry-food-medicine-culture/
2. http://wildfoodsandmedicines.com/its-berry-season/
3. http://portlandnursery.com/plants/natives/rubus.shtml
4. https://en.wikipedia.org/wiki/Rubus_ursinus
5. http://www.vannattabros.com/plant5.html
관련 글